게슈탈트(Gestalt)란<형태, 형상>을 뜻하는 독일어로, 형태 심리학의 중추 개념이다. 형태 심리 학자들은 심리 현상은 요소의 가산적 총화로는 설명할 수 없고 전체성을 갖는 동시에 구조화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러한 성질을 게슈탈트라 하였다.
출처 : 위키피디아
==================================================================================================
게슈탈트 법칙 [Gestalttheorie]
게슈탈트 심리학파가 제시한 심리학의 법칙.
출처 : 네이버
==================================================================================================
심리학의 전통에서 주류파였던 연합주의(聯合主義)의 요소관(要素觀)에 대립하여 심리학의 전체관(全體觀) ·형태성(形態性)을 중시하는 입장의 심리학설. 형태심리학
게슈탈트란 원래 형(形) ·형태(形態)를 뜻하는 독일어이며, 심리현상에서의 게슈탈트성(性)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지적한 사람은 오스트리아의 C.에렌펠스이다.
그는 현상이 형태성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판정기준으로,
① 전체는 부분의 총화(總和) 이상의 것이며,
② ‘이조(移調)’가 가능하다는 2가지 점을 지적하였다.
전체는 정확히 부분의 총화와 같고, 요소가 합쳐짐으로써 추가되는 새로운 성질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 연합설의 주장이므로 첫번째 점에 관해서는 차이가 명백하다. 두번째 점인 ‘이조’ 가능성은 개개의 요소를 전부 옮겨 놓아도 그들 상호간에 성립하는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한, 전체로서의 성질은 거의 불변(不變)이라는 것이다.
예로부터 연합설의 요소관에 대한 반성과 비판은 많이 행해졌으나 구체적인 관찰과 실험을 통하여 전체관의 우수성을 보여 준 것은 이 학파가 처음이다.
20세기에 들어서는 M.베르트하이머의 운동관(運動觀)의 연구(1912), W.쾰러의 유인원(類人猿)의 사고연구(1917), K.코프카의 지각과 기억연구, K.레빈의 의지동작(意志動作) 연구(1922 이후) 등이 나와서 심리학계뿐만 아니라 다른 자연과학(예컨대 생리학자 C.M.차일드의 실험발생학에서의 勾配說), 사회과학(사회심리학에서의 場理論, 그룹 다이내믹스)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회화 ·영화 ·음악 등의 예술감상에 관한 연구가 중에도 이 학파의 추종자가 많다.
게슈탈트학파 연구태도의 특색 중,
① 전체관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에 이 학파는 ② ‘현상학적 관찰(現象學的觀察)’을 주장한다.
행동주의와 같이 의식을 버리지는 않지만, 의식을 관찰할 때 W.M.분트의 ‘내관(內觀)’처럼 요소적인 감각이나 감정을 분석하는 것만이 과학적이라는 것은 하나의 편견이라 생각하고 소박한 태도로,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외계의 모습은 태양광선의 방향이 변화함에 따라 시시각각으로 달라지지만 우리는 사소한 차이를 무시하고 대상(인물이나 사물) 그 자체를 동일한 색채 ·형태 ·명도(明度)를 가진 것으로 느낀다. 이것을 ‘항상현상(恒常現象)’이라 하며, 이 학파에 의해 진지하게 연구되었다.
이 학파 중에는 현상의 관찰만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심리현상의 게슈탈트성 배후에는 이것에 상응하는 생리 ·물리적 사상(事象)의 게슈탈트성이 성립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이것을
③ 심리-물리의 동형설(同型說)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성질을 명백히 하기 위해서는
④ 역학설(力學說)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연합주의자는 일정한 요소적 자극입력(刺戟入力)에 대하여 일정한 요소적 감각 또는 반응이 대응한다고 가정하였으나 게슈탈트학파는 전기(電氣)와 자기(磁氣)의 ‘장(場)’ 또는 비누거품과 같은 ‘계(系)’로서의 성질을 갖춘 물리현상에 주목한다. ‘계’란 전자기(電磁氣) 또는 역학적인 힘의 평형에 의하여 성립되는 것이며, 일부분의 변화는 즉시 전체에 파급된다. 생리-물리의 수준에서 어떠한 ‘힘’이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力學觀) 비로소 심리적 게슈탈트의 성립기구(成立機構)가 명백해진다고 생각하였다.
예컨대 눈의 망막에 어떤 형태의 물체의 상이 투사되었을 때 그 흥분이 일어나는 것은 꼭 빛이 투사된 부분에만 한하지 않고 어떤 계통적인 경사도를 가지고 그 주변에도 미친다는 것이다(場의 理論). 기하광학적 착시(幾何光學的錯視)나 기타 현상의 설명에는 이와 같은 흥분의 ‘장’을 고려에 넣어야만 편리하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장’이 말초감각 기관의 성립적 수준에서 성립한다는 것이 설명되나 게슈탈트학파는 주로 대뇌중추에서의 ‘장’을 생각하였다.
이 밖에도 장이론의 사회심리학에의 응용(레빈)이나 학습심리학에서 ‘습관’의 형성과 붕괴가 아니라 ‘인지(認知) 구조’의 변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등 역사상 최초로 연합설이 아닌 새로운 심리학의 체계를 세우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
게슈탈트의 기본적인 개념입니다.
어떤 사람이 담배를 피우는것을 예로 든다면,
주머니에서 담배갑과, 라이터를 꺼내고,
담배갑에서 담배 한대를 꺼낸뒤, 담배갑을 다시 주머니에 집어넣고
꺼낸 담배를 입에 물고, 담배에 라이터 불을 붙이고
라이터를 주머니에 집어넣고
손가락을 담배를 잡고,
입으로 담배를 빨다가
담배가 다 타면, 그 담배꽁초를 버리는 것
이 전체를 게슈탈트라고 합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하나의 완결된 전체를 게슈탈트라고 합니다.
==================================================================================================
게슈탈트라는 말은 형태나 모양을 의미하는 독일어 명사에서 유래했다. 영상 인식의 게슈탈트 이론은 독일의 심리학자 막스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가 1910년 여름 기차 여행을 하는 동안 영감을 얻어서 주장하게 되었다. 그는 기차의 불투명한 벽과 창문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자신의 시야를 가리고 있는데도 바깥 경치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눈이 단순하게 모든 영상 자극을 받아들이고 뇌는 이러한 감각을 일관된 이미지로 정리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베르트하이머에 의한 최초 연구를 더욱 심화 시켜서 영상 인식은 감각적 요소와 형태를 다양한 그룹으로 조직한 결과라고 결론지었다.
<네 가지 분류 법칙>
1. 유사성의 법칙(the law of similarity)
사람은 집중하기 위해서 가장 간단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선택한다. 이 법칙이 정사각형, 원, 삼각형 등 가장 기본적인 모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뇌가 가능한 한 단순한 자극 형태를 유지해서 뇌가 즉시 인식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가 간단한 의미를 전달하기를 원한다.
2. 근접성의 법칙(the law of proximity)
두뇌는 멀리 떨어져 있는 두 물체보 다는 서로 근접해 있는 물체들을 밀접하게 연관시킨다는 내용이다. 손을 잡고 가까이서 있는 두 친구는 20야드 떨어져 서 있는 세번째 사람보다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3. 연속성의 법칙(the law of comtinuance)
뇌는 선의 갑작스럽거나 급격한 움직임의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하면 뇌는 가능한 한 선의 부드러운 연속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 선은 그림의 일반적인 선이거나 서너 개의 물체가 모여서 선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연속적인 선에 속한 것으로 보이는 물체는 그 선의 일부가 아닌 다른 물체와는 정신적으로 분리된다.
4. 공동 운명의 법칙(the law of commom fate)
보는 사람은 같은 방향의 하늘을 지향하는 다섯 개의 화살이나 모아진 다섯 개의 손가락이 모두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므로 정신적으로 같이 분류한다.
출처 : 네이버
출처 : 위키피디아
==================================================================================================
게슈탈트 법칙 [Gestalttheorie]
게슈탈트 심리학파가 제시한 심리학의 법칙.
게슈탈트의 요인(要因)이라고도 한다. M.베르트하이머가 처음으로 제기한, 주로 지각심리학 영역에서의 중요한 법칙이다. 특히 시지각(視知覺)에서 군화(群化)의 문제와 관계가 있다. 이 법칙은 근접의 법칙, 유동(類同)의 법칙, 폐합(閉合)의 법칙, 좋은 연속의 법칙, 좋은 모양의 법칙 등을 포함한다.
가령 [그림]에서처럼 ① 근접한 것끼리, ② 유사한 것끼리, ③ 닫힌 모양을 이루는 것끼리, ④ 좋은 연속을 하고 있는 것끼리, ⑤ 좋은 모양을 만드는 것끼리 한데 모임으로써 보기 좋아진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지각뿐만 아니라 널리 심리학 문제와도 관계가 있다.
제목 | : | 게슈탈트법칙 |
사진크기 | : | 800*722 (원본사진보기) |
출처 | : | © encyber.com |
관련항목 | : | 게슈탈트 법칙 |
출처 : 네이버
==================================================================================================
심리학의 전통에서 주류파였던 연합주의(聯合主義)의 요소관(要素觀)에 대립하여 심리학의 전체관(全體觀) ·형태성(形態性)을 중시하는 입장의 심리학설. 형태심리학
게슈탈트란 원래 형(形) ·형태(形態)를 뜻하는 독일어이며, 심리현상에서의 게슈탈트성(性)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지적한 사람은 오스트리아의 C.에렌펠스이다.
그는 현상이 형태성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판정기준으로,
① 전체는 부분의 총화(總和) 이상의 것이며,
② ‘이조(移調)’가 가능하다는 2가지 점을 지적하였다.
전체는 정확히 부분의 총화와 같고, 요소가 합쳐짐으로써 추가되는 새로운 성질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 연합설의 주장이므로 첫번째 점에 관해서는 차이가 명백하다. 두번째 점인 ‘이조’ 가능성은 개개의 요소를 전부 옮겨 놓아도 그들 상호간에 성립하는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한, 전체로서의 성질은 거의 불변(不變)이라는 것이다.
예로부터 연합설의 요소관에 대한 반성과 비판은 많이 행해졌으나 구체적인 관찰과 실험을 통하여 전체관의 우수성을 보여 준 것은 이 학파가 처음이다.
20세기에 들어서는 M.베르트하이머의 운동관(運動觀)의 연구(1912), W.쾰러의 유인원(類人猿)의 사고연구(1917), K.코프카의 지각과 기억연구, K.레빈의 의지동작(意志動作) 연구(1922 이후) 등이 나와서 심리학계뿐만 아니라 다른 자연과학(예컨대 생리학자 C.M.차일드의 실험발생학에서의 勾配說), 사회과학(사회심리학에서의 場理論, 그룹 다이내믹스)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회화 ·영화 ·음악 등의 예술감상에 관한 연구가 중에도 이 학파의 추종자가 많다.
게슈탈트학파 연구태도의 특색 중,
① 전체관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에 이 학파는 ② ‘현상학적 관찰(現象學的觀察)’을 주장한다.
행동주의와 같이 의식을 버리지는 않지만, 의식을 관찰할 때 W.M.분트의 ‘내관(內觀)’처럼 요소적인 감각이나 감정을 분석하는 것만이 과학적이라는 것은 하나의 편견이라 생각하고 소박한 태도로,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외계의 모습은 태양광선의 방향이 변화함에 따라 시시각각으로 달라지지만 우리는 사소한 차이를 무시하고 대상(인물이나 사물) 그 자체를 동일한 색채 ·형태 ·명도(明度)를 가진 것으로 느낀다. 이것을 ‘항상현상(恒常現象)’이라 하며, 이 학파에 의해 진지하게 연구되었다.
이 학파 중에는 현상의 관찰만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심리현상의 게슈탈트성 배후에는 이것에 상응하는 생리 ·물리적 사상(事象)의 게슈탈트성이 성립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이것을
③ 심리-물리의 동형설(同型說)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성질을 명백히 하기 위해서는
④ 역학설(力學說)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연합주의자는 일정한 요소적 자극입력(刺戟入力)에 대하여 일정한 요소적 감각 또는 반응이 대응한다고 가정하였으나 게슈탈트학파는 전기(電氣)와 자기(磁氣)의 ‘장(場)’ 또는 비누거품과 같은 ‘계(系)’로서의 성질을 갖춘 물리현상에 주목한다. ‘계’란 전자기(電磁氣) 또는 역학적인 힘의 평형에 의하여 성립되는 것이며, 일부분의 변화는 즉시 전체에 파급된다. 생리-물리의 수준에서 어떠한 ‘힘’이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力學觀) 비로소 심리적 게슈탈트의 성립기구(成立機構)가 명백해진다고 생각하였다.
예컨대 눈의 망막에 어떤 형태의 물체의 상이 투사되었을 때 그 흥분이 일어나는 것은 꼭 빛이 투사된 부분에만 한하지 않고 어떤 계통적인 경사도를 가지고 그 주변에도 미친다는 것이다(場의 理論). 기하광학적 착시(幾何光學的錯視)나 기타 현상의 설명에는 이와 같은 흥분의 ‘장’을 고려에 넣어야만 편리하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장’이 말초감각 기관의 성립적 수준에서 성립한다는 것이 설명되나 게슈탈트학파는 주로 대뇌중추에서의 ‘장’을 생각하였다.
이 밖에도 장이론의 사회심리학에의 응용(레빈)이나 학습심리학에서 ‘습관’의 형성과 붕괴가 아니라 ‘인지(認知) 구조’의 변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등 역사상 최초로 연합설이 아닌 새로운 심리학의 체계를 세우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
게슈탈트의 기본적인 개념입니다.
어떤 사람이 담배를 피우는것을 예로 든다면,
주머니에서 담배갑과, 라이터를 꺼내고,
담배갑에서 담배 한대를 꺼낸뒤, 담배갑을 다시 주머니에 집어넣고
꺼낸 담배를 입에 물고, 담배에 라이터 불을 붙이고
라이터를 주머니에 집어넣고
손가락을 담배를 잡고,
입으로 담배를 빨다가
담배가 다 타면, 그 담배꽁초를 버리는 것
이 전체를 게슈탈트라고 합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하나의 완결된 전체를 게슈탈트라고 합니다.
==================================================================================================
게슈탈트라는 말은 형태나 모양을 의미하는 독일어 명사에서 유래했다. 영상 인식의 게슈탈트 이론은 독일의 심리학자 막스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가 1910년 여름 기차 여행을 하는 동안 영감을 얻어서 주장하게 되었다. 그는 기차의 불투명한 벽과 창문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자신의 시야를 가리고 있는데도 바깥 경치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눈이 단순하게 모든 영상 자극을 받아들이고 뇌는 이러한 감각을 일관된 이미지로 정리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베르트하이머에 의한 최초 연구를 더욱 심화 시켜서 영상 인식은 감각적 요소와 형태를 다양한 그룹으로 조직한 결과라고 결론지었다.
<네 가지 분류 법칙>
1. 유사성의 법칙(the law of similarity)
사람은 집중하기 위해서 가장 간단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선택한다. 이 법칙이 정사각형, 원, 삼각형 등 가장 기본적인 모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뇌가 가능한 한 단순한 자극 형태를 유지해서 뇌가 즉시 인식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가 간단한 의미를 전달하기를 원한다.
2. 근접성의 법칙(the law of proximity)
두뇌는 멀리 떨어져 있는 두 물체보 다는 서로 근접해 있는 물체들을 밀접하게 연관시킨다는 내용이다. 손을 잡고 가까이서 있는 두 친구는 20야드 떨어져 서 있는 세번째 사람보다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3. 연속성의 법칙(the law of comtinuance)
뇌는 선의 갑작스럽거나 급격한 움직임의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하면 뇌는 가능한 한 선의 부드러운 연속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 선은 그림의 일반적인 선이거나 서너 개의 물체가 모여서 선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연속적인 선에 속한 것으로 보이는 물체는 그 선의 일부가 아닌 다른 물체와는 정신적으로 분리된다.
4. 공동 운명의 법칙(the law of commom fate)
보는 사람은 같은 방향의 하늘을 지향하는 다섯 개의 화살이나 모아진 다섯 개의 손가락이 모두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므로 정신적으로 같이 분류한다.
출처 : 네이버
'용어 이해하기 > 트렌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알아야 할 신기술 10가지 (0) | 2010.03.02 |
---|---|
진정성(眞正性) (0) | 2010.01.28 |
신조어 (0) | 2009.11.01 |
2010년 전략기술 톱10은? (0) | 2009.10.29 |
웹 탄생 20주년, 팀 버너스 리에 감사를~ (0) | 2009.04.14 |